인사 HR
-
파레토 법칙 (2080 법칙) - KPI 기초 원리 #6인사 HR/인사 실무 2021. 6. 11. 13:15
파레토 법칙은 KPI의 K를 설명하는 원리이다. 이전 게시글 핵심 요약 - KPI의 부작용, 사일로 효과를 사전에 대비해야 한다. KPI의 K는 KEY, 핵심을 의미한다 측정하고 평가하려고 하다 보면 실수하기 쉬운 문제가 모든 지표를 관리하고 피드백하려고 접근하는 것이다. 특히 마이크로 매니징이 강점인 팀장이나, 프로세스가 뛰어난 기획자는 이러한 오류를 범하기 쉽다. KPI를 설계할 때 항상 먼저 떠 올릴 것은 이 PI가 K인가? 이 성과평가지표가 핵심인가? 란 질문이다. 비즈니스에서 PI로 다룰 수 있는 지표는 사실 너무 많다. 패션 회사의 경우를 예로 들면, 매출, 영업이익과 같은 재무지표를 기본으로 정판율, 재고보유일수, ROTC, 원가율, 인건비율 등 지표는 무궁무진하다. 특히 복종, 아이템별, ..
-
KPI 성과 평가의 그림자 - 사일로 효과 (Silo Effect) #5인사 HR/인사 실무 2021. 6. 10. 07:50
KPI 성과 평가를 따라다니는 사일로 효과, 사일로 현상을 미리 알고 대비하자. 이전 게시글 핵심 요약 - KPI 셋업 시에는 이해관계에 따른 메커니즘을 고려해야 한다. KPI로 나타나는 사일로 효과, 도대체 왜? 인사 업무를 하거나 혹은 KPI 평가를 진행하는 회사의 직장인이라면 KPI로 인한 사일로 효과를 경험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타 부서 업무 협조받기가 엄청 까다로웠다거나, 마치 서로 다른 회사를 다니는 사람들처럼 극한 경쟁을 했다거나. 이러한 현상들은 대부분 KPI 도입에 따른 부작용인 사일로 효과로 인한 것이다. 사일로 효과를 느꼈다면! KPI가 그만큼 강력한 도구라는 반증 동전 뒤집기 같은 소리지만, 사일로 효과가 생겼다는 것은 그만큼 KPI가 작용을 파워풀하게 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
KPI 셋업 과정의 실제! - 부서 이기주의?! #4인사 HR/인사 실무 2021. 6. 9. 08:41
이전 게시글 핵심 요약 - SMART 목표 설정 기법을 활용하여, 목표를 효과적으로 셋업해야 한다. KPI를 만들기만 하면 끝나는 줄 알았는데 그게 다가 아니었다. 이론과 실제는 다르고, 케바케, 부바부 뭐 다 다르다고 하지만 대부분의 양상은 비슷할 것이다. 아무리 SMART한 KPI를 잘 셋업 하여도 팀원들의 일부는 동의를 하지 않거나 부서 이기주의가 생긴다거나 조직 내에 공유지가 생기고, 사일로 문제가 생기기 마련이다. 특히 부서 이기주의는 KPI가 항상 수반하는 이슈인데 드라마나, 소설에도 간혹 나오고 일상생활에서도 종종 볼 수가 있다. 대부분의 기업집단에서는 연초에 KPI를 부서별로 세팅하면 이 KPI는 변경 없이, 연말에 평가되고 인사고과에 반영되어 승진과 보상에 직결되기 때문에, 자기들의 KP..
-
SMART 목표 설정 기법 (KPI 셋업) #3인사 HR/인사 실무 2021. 6. 8. 15:02
이전 게시글 핵심 요약 - 측정 가능한 KPI를 셋업 하고, 관리하는 것은 비즈니스의 기초이지만, 놓치기 쉽다. 측정 가능한 KPI는 어떻게 셋업 할까? 목표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피터 드러커는 이미 측정 가능한 KPI 셋업 기법을 제시했다. SMART 목표 설정 기법으로, 참으로 'SMART한' 방식이다. 경영학이나 마케팅을 배우다 보면, 종종 언급되는 걸 볼 수 있는데 앞글자를 딴 네이밍 덕분에 연상하기도 쉽다. Specific Measurable Achievable / Action-oriented Realistic / Result-oriented Time-bound *1954년에 발표된 피터 드러커의 저서 '경영의 실제'에서 처음 언급된 이후로, 해석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큰 의미는 비슷하다..
-
OKR과 KPI의 차이점 - 성과 평가 설계 #2인사 HR/인사 실무 2021. 6. 7. 17:47
이전 게시글 핵심 요약 - KPI는 최종 목표에서부터 역으로 세부 KPI를 수립해야 하고, 전략적 우선순위가 필요하다. KPI를 다루다 보면 어김없이 같이 언급되는 OKR (역시 구글의 위력이란) OKR이란? Objectives and key results를 말하며, 구글의 성과관리 도구로 소개된 이후로 국내에서도 많이 알려졌고, 많은 기업들이 OKR을 너도나도 도입하려고 하고 있다. 결론적으로는 KPI보다 상위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가령 체지방률 35%의 어떤 사람이 비만을 탈출하려면, 유산소 운동을 하거나 식단 관리를 하려고 할 것이다. 여기서 35%의 체지방률이 KPI라면, 이 KPI를 보고 '비만이니까 유산소 운동을 자주 해야겠다'라는 대안을 내고 실행하는 전체 과정을 OKR이라고 할 수 있..
-
KPI? OKR? 성과 평가 설계하기 #1인사 HR/인사 실무 2021. 6. 2. 17:18
들어가기 전에 KPI란? 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 성과지표를 말하며, 보통의 경우 '목표'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인사 업무를 한지도 어느덧 10년차가 되었다. 이제는 어떤 업무를 해도, 어렵다는 생각이 들지 않지만 어떤 업무를 해도 어렵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도 저도 아닌 무슨 소린가 싶겠지만, 이제는 신입때처럼 뭘 몰라서 어려운 것이 아니고 더 잘하거나, 더 정교하다거나, 더 효과적으로 만드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물론, 의욕과 열정도 그만큼 줄어들긴 했다. 인사 업무 10년차가 되어도, KPI는 아직도 어렵다 기업 규모가 커지고, 비즈니스가 복잡해질수록 KPI는 더욱 중요해진다. 지금까지 내가 깊이 관여하며 다뤄 본 조직 규모는 100명~200명 정도 선이었다..